어승생악 (오름) > 산과 자연암벽

본문 바로가기

산과 자연암벽

어승생악 (오름)

기사입력 2024-11-17 07:24
profile_image 김주운 기자 (wingmen3@naver.com)

본문

f07dac50cd95ec117202f40dee3973ed_1731794486_958.jpg
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해안동 1100도로 555번지 (해안동 산220-12번지)  제주 어승생악 일제 동굴진지

 ​정상에 올라서면 일본군 최고 지휘부인 제58군 사령부의 주둔지로서 최후의 보루 거점지이다. 제주시를 한문에 볼 수 있는 요충지이며 2개의 벙커, 3부와 8부 능선에 3개의

동굴진지가 남아 있다. 


f07dac50cd95ec117202f40dee3973ed_1731794775_5154.jpg
대평양전쟁 말기 제주도를 저항 기지로 삼고 수세에 몰린 일본군 침략의 역사를 보여 주는 흔적들...


f07dac50cd95ec117202f40dee3973ed_1731794862_3342.jpg
f07dac50cd95ec117202f40dee3973ed_1731794879_1579.jpg
f07dac50cd95ec117202f40dee3973ed_1731794879_4978.jpg
f07dac50cd95ec117202f40dee3973ed_1731794879_8702.jpg
f07dac50cd95ec117202f40dee3973ed_1731794880_0924.jpg
정상부에 지어진 벙커1의 내부 모습

 2개의 콘크리트 벙커 시설은 조천.애월.한림 등을 한눈에 볼 수 있고 두꺼운 철근과 시멘트로 지어졌으며 내부에서 밖을 관찰할 수 있게 총안이 사다리꼴로 만들어졌다.


f07dac50cd95ec117202f40dee3973ed_1731794978_725.jpg
표고(1,169m), 비고(350m) 

제주시 남쪽에 위치한 측화산이다. 정상에는 비가 오면 물이 고이는 분화구가 있다.  한라산의 능선이라기 보단 단일 분화구를 

가진 단독 오름이다.​


f07dac50cd95ec117202f40dee3973ed_1731795588_1223.jpg
정상에서 바라본 어리목 주차장

어리목휴게소에서 정상까지 30분이면 오를 수 있다. 기생화산 중에서 큰 산체를 가지고 있다.


f07dac50cd95ec117202f40dee3973ed_1731795831_5942.jpg

날씨가 좋은 날에는 백록담 정상부와 오름들을 관망할 수 있다.


f07dac50cd95ec117202f40dee3973ed_1731795831_7387.jpg
f07dac50cd95ec117202f40dee3973ed_1731795831_878.jpg
f07dac50cd95ec117202f40dee3973ed_1731795832_1322.jpg
f07dac50cd95ec117202f40dee3973ed_1731795832_5163.jpg
f07dac50cd95ec117202f40dee3973ed_1731795832_811.jpg
 

김주운 기자 (wingmen3@naver.com)


댓글목록0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게시판 전체검색